※ 글쓴이는 취미로 코딩을 익혀보는 사람이라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담고 있을 수 있다 ※
이번에 볼 문제는 백준 16209번 문제인 수열 섞기이다.
문제는 아래 링크를 확인하자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6209
16209번: 수열 섞기
인접한 원소의 곱들을 최대화한 본 수열의 재배열을 하나 출력하자. 만약 최대화할 수 있는 재배열이 여러 가지 있다면 아무거나 하나 출력하면 된다.
www.acmicpc.net
주어지는 정수의 부호가 모두 양수이면 문제의 답중 하나는 가장 큰 수를 중심에 두고 남은 수들을 큰 수부터 차례로 앞뒤로 번갈아 이어붙여 만든 순열이 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. 주어지는 정수의 부호가 모두 음수인 경우 또한 유사한 성질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.
한편 양수와 음수가 곱해지면 구하는 값이 커지는 데에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쌍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. 위에서 만든 양수끼리의 순열과 음수끼리의 순열의 양 끝 값의 절댓값이 매우 작다는 점을 관찰하면 이러한 최소화를 간단히 해낼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. 물론 0이 존재한다면 두 순열 사이에 0을 채워넣어 음의 값을 더할 일을 없애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.
글쓴이는 위의 관찰을 바탕으로 정렬과 deque 등을 이용해 구현해 문제를 해결하였다.
아래는 제출한 소스코드이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deque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int N;
vector<int> vecL, vec0, vecR;
deque<int> dqL, dqR;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0);
cin.tie(0);
cin >> N;
while (N--) {
int x; cin >> x;
if (x < 0) vecL.emplace_back(-x);
else if (x > 0) vecR.emplace_back(x);
else vec0.emplace_back(x);
}
sort(vecL.begin(), vecL.end());
sort(vecR.begin(), vecR.end());
while (!vecL.empty()) {
if (vecL.size() & 1) dqL.push_back(vecL.back());
else dqL.push_front(vecL.back());
vecL.pop_back();
}
while (!vecR.empty()) {
if (vecR.size() & 1) dqR.push_front(vecR.back());
else dqR.push_back(vecR.back());
vecR.pop_back();
}
for (auto& x : dqL) cout << -x << ' ';
for (auto& x : vec0) cout << x << ' ';
for (auto& x : dqR) cout << x << ' ';
}
728x90
'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 16207 // C++] 직사각형 (0) | 2023.09.14 |
---|---|
[BOJ 16210 // C++] DSHS Bank (0) | 2023.09.13 |
[BOJ 25367 // C++] 너무 시시했다 (0) | 2023.09.11 |
[BOJ 11946 // C++] ACM-ICPC (0) | 2023.09.10 |
[BOJ 27198 // C++] kex (0) | 2023.09.08 |